반응형 꿀팁/맞춤법 48 구지? 굳이? 궂이? 어떤게 맞을까? 구지 vs 굳이 꿀팁 요정 벨라입니다. (구지/굳이) 할 필요가 있어? 괄호 안에 맞춤법이 헷갈리시나요? 구지 vs 굳이 어떤 게 맞는지,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 완벽 정리해드릴게요! Q. '구지'와 '굳이' 어느 것이 맞습니까? A. 정답은 굳이 발음이 비슷해서 자주 헷갈리는 맞춤법이에요. '굳이' 올바른 사용법. 국어사전 굳이 [부사] ①단단한 마음으로 굳게. ②고집을 부려 구태여. 예시 (굳이/구지) 사양하다 (굳이/구지) 원하신다면 내가 하겠다고 (굳이/구지) 고집하다 (굳이/구지) 필요하다면 (굳이/구지) 오지 않아도 돼 (굳이/구지)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굳이/구지) 알려고 애쓰지 마라. (굳이/구지) 할 필요는 없다 굳이 vs 구지 구별법! 구지 발음이 굳이와 같아서, 자주 헷갈릴 수 있.. 2020. 9. 16. 뵈요? 봬요? 어떤게 맞을까? 뵈요 vs 봬요 꿀팁 요정 벨라입니다. 내일 (뵈요/봬요) 괄호 안에 맞춤법이 헷갈리시나요? 뵈요 vs 봬요 어떤 게 맞는지,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 완벽 정리해드릴게요! Q. '뵈요'와 '봬요' 어느 것이 맞습니까? A. 정답은 봬요 발음이 비슷해서 자주 헷갈리는 맞춤법이에요. 참 쉬운~구별법! 결론부터 말하면, 뵈요(x) 봬요(o)입니다. 봬요는 뵈어요가 줄여진 말이에요. 이것만 외워두시면 문자 쓸 때 맞춤법 틀릴 일은 없답니다! ★TIP 아직도 헷갈리신다면 ‘하’와 ‘해’를 대입해 보세요. ‘뵈’는 ‘하’로, ‘봬’는 ‘해’로! 내일 뵈요 → 내일 하요 (x) 내일 봬요 → 내일 해요 (o) [예] 내일 (뵈요/봬요) 조만간 또 (뵈요/봬요) 월요일에 (뵈요/봬요) 다음 달에 (뵈요/봬요) 곧 (.. 2020. 9. 15. 메다? 매다? 어떤게 맞을까? 메다 vs 매다 꿀팁 요정 벨라입니다. 가방을 (메다/매다) 괄호 안에 맞춤법이 헷갈리시나요? 메다 vs 매다 어떤 게 맞는지,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 완벽 정리해드릴게요! Q. '메다'와 '매다' 어느 것이 맞습니까? A. 정답은 둘 다 맞습니다. 생김새가 비슷해서 자주 헷갈리는 맞춤법이에요. '메다' 올바른 사용법. 메다 ① 어깨에 걸치거나 올려놓다. ② 어떤 책임을 지거나 임무를 맡다. ③ 뚫린 곳, 빈 곳이 막히거나 채워지다. ④ 어떤 장소에 가득 차다. ⑤ 감정이 북받쳐 목소리가 잘 나지 않다. (예) 가방을 메다/매다. 멜빵을 메다/매다. 기타를 메다/매다. 총대를 메다/매다. 하수도 구멍이 메다/매다. 웅덩이가 메다/매다. 슬퍼서 목이 메다/매다. 급하게 먹어서 목이 메다/매다. 메어/매어.. 2020. 9. 10. 우겨넣다? 욱여넣다? 어떤게 맞을까? 우겨넣다 vs 욱여넣다 꿀팁 요정 벨라입니다. 작은 신발에 내 발을 (우겨넣다/욱여넣다) 괄호 안에 맞춤법이 헷갈리시나요? 우겨넣다 vs 욱여넣다 어떤 게 맞는지,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 완벽 정리해드릴게요! Q. '우겨넣다'와 '욱여넣다' 어느 것이 맞습니까? A. 정답은 욱여넣다 발음이 비슷해서 자주 헷갈리는 맞춤법이에요. '욱여넣다' 올바른 사용법. 욱여넣다 욱이다+넣다 억지로 밀어 넣다 주위에서 중심으로 함부로 밀어 넣다. (예) · 다람쥐가 알밤을 입에 욱여넣었다. · 그 비싼 옷을 작은 가방에 욱여넣었다. '우겨넣다' 올바른 사용법. 우겨넣다(X) 우겨 넣다(O) 차이를 아시겠나요? 우겨 넣다= 우기다+넣다를 의미해요. "우겨서 넣다"를 의미하면, 우겨와 넣다 사이를 띄어서 써야 해요. 정리.. 2020. 9. 9. 띄다? 띠다? 어떤게 맞을까? 띄다 vs 띠다 꿀팁 요정 벨라입니다. 미소를 (띠며/띄며) 말했다. 괄호 안에 맞춤법이 헷갈리시나요? 띄다 vs 띠다 어떤 게 맞는지,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 완벽 정리해드릴게요! Q. '띄다'와 '띠다' 어느 것이 맞습니까? A. 둘 다 맞습니다. 생김새는 비슷하지만 의미가 전혀 다른 단어입니다. '띄다' 올바른 사용법. 띄다 ①뜨이다(눈에 보이다) ②띄우다(간격을 벌리다) (예) · 눈에 띄게 예쁘다. · 의자 간격을 띄다. '띠다' 올바른 사용법. 띠다 빛깔이나 색채, 감정이나 기운, 어떠한 성향을 가지다. (예) · 미소를 띠다. · 사명을 띠다. · 붉은빛을 띠다. 참 쉬운~구별법! 띠다 대신 띄다를 혼동하는 경우가 많아요. 예를 들어 미소를 띄우며 나를 보낸 그 모습처럼(X) 미소를 띠며 .. 2020. 9. 8. 이전 1 ··· 6 7 8 9 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