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체류시간 높이는 가독성 좋은 폰트?
가독성 좋은 폰트
꿀팁 요정 벨라입니다.
티스토리 체류시간을 높이려면? 양질의 포스팅을 발행하는 것만큼 중요한 게! 또 있습니다. 가독성 좋은 폰트를 사용하는 것. 맛있는 음식을 예쁜 그릇에 담으면 훨씬 먹음직스럽듯이, 글도 마찬가지입니다.
가독성 좋은 폰트 찾는 법
1) 고딕 vs 명조
▲ 위의 이미지를 다시 한번 봐주세요. 어떤 글씨가 눈에 먼저 읽히나요? 그렇죠! 고딕이 눈에 띄입니다. 명조체는 왠지 눈에 잘 안 들어오죠? 그 이유를 알아보겠습니다.
2) 신문에서 배워라!
▲ 신문은 가독성이 최우선인 발행물이죠? 종이 신문은 명조체로 인쇄되지만, 전자 신문은 고딕체로 발행됩니다. 여기서 우리는 유추할 수 있습니다. PC나 Mobie에 발행하는 글은 고딕체로 써야 읽기가 쉽다는 사실을요.
내 글이 발행되는 곳에 따라! 가독성 좋은 폰트는 달라야 합니다. 블로그에서 80% 이상을 차지하는 부분은 본문입니다.
가독성을 좌우하는 건 바로 본문 폰트죠! 본문에 쓰는 폰트는 독자에 대한 배려입니다. 블로거의 개성을 드러내는 곳이 아니랍니다.
티스토리의 이탈률이 높다면, 폰트를 체크해 보세요! 너무 작거나, 읽기 어려운 폰트를 선택했을 가능성이 높답니다. 가독성이 높아지면 내 블로그의 체류시간은 늘어납니다. 당연한 이치죠.
블로그 폰트 제대로 사용하는 방법
1) 고딕체를 사용하자!
▲ 티스토리 블로그 기본서체는 고딕체입니다.
▲ 티스토리 공식 블로그에서 발행한 글입니다. 고딕체를 사용했죠!
▲ 네이버 블로그도 고딕체가 기본서체입니다.
▲ 네이버 공식 블로그에서 발행한 글입니다. 고딕체를 사용했죠!
공식 블로그에서 고딕체를 사용하는 이유는 뭘까요? 당연히!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서겠죠. 포스팅는 읽혀야 합니다. 예쁜 것보다! 내 취향보다! 독자의 가독성이 최우선입니다.
2) 말투에 따라 고르자! 본고딕 vs 나눔고딕
▲ 본고딕은 구글과 어도비 시스템즈가 2014년 7월 출시한 글꼴이에요. 반면에 나눔고딕은 네이버가 2008년에 배포된 글꼴입니다.
본고딕은 남성적인 느낌이라면, 나눔고딕은 여성적인 느낌이에요. 본고딕은 각이 졌고, 나눔고딕은 글자 끝이 둥글게 처리돼, 친근하고 부드러워요.
둘 중 어떤 폰트를 선택해야 하는지 고민이라면? 이렇게 해보세요. 포스팅의 내용이 전문적고, 문어체를 사용하면 본고딕을! 반면에 생활정보를 주로 다루는 포스팅이고, 구어체 사용한다면 나눔고딕을 추천해요!
기본서체가 좋다면 사용해도 좋아요. 단, 명조체는 비추입니다!
3) 폰트 크기가 중요하다! 본문1 vs 본문2
▲ 티스토리 새로운 글쓰기 에디터는 폰트 사이즈를 지정할 수 없어요. 제목, 본문, 인용에 따라서 설정된 폰트 크기로 변환만 가능하죠. 제목은 제목으로! 본문은 본문으로! 폰트를 설정해주면, 가독성을 훨씬 더 높일 수 있습니다.
폰트가 작으면 글 읽기가 피곤하잖아요. 독자의 연령대에 따라서 본문 크기를 설정해주세요. 연령이 높다면 본문1, 연령이 낮다면 본문2를 추천드려요.
마치며
꿀팁 요정 벨라의 이야기
가끔 이런 칭찬의 댓글을 받아요. "글이 읽기 편해요" "설명이 상세해요" "도움이 많이 됐어요" 마음으로만 생각하셔도 고마운데, 댓글로 남겨주시니 감동이었어요. 이번 포스팅은 이런 댓글을 보답하기 위해서 기획하게 된 포스팅이에요. 조금 더 가독성이 좋은 글을 선물해드리고 싶어서, 본격적으로 공부할 겸! 그 정보를 공유해 드린거랍니다. 에필로그 끝.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아요와 구독하기는 사랑입니다.
유익한 포스팅으로 또 찾아올게요!
빠염